HOSPITAL

  • 청담의사란


    ‘청담의사란’은 따뜻하고 아늑한 한국적인 뉘앙스를 공간에 입혔다.
    4층 엘리베이터에서 내리면 따뜻한 조명을 받는 흰 벽이 보인다.
    온기에 이끌려 들어가면 연장된 밝음과 조명의 포근함을 만끽할 수 있다.
    접수를 마치고 대기공간에 가면 살짝 어두워진듯함과 동시에 한 사람만을 위한 1인 소파에 잠기듯 앉는다.
    살짝 고개를 돌리면 상쾌한 조경의 초록이 보이고 그것은 은경에 반사되어 그 깊이가 두 배가 된다.
    다시 밝음으로 나와 그 벽을 타고 공간의 안쪽으로 진입하면 부담스럽지 않으나 결코 가볍지 않은 우드의 공간이 나온다.

    원장실로 들어가면 제일 먼저보이는 우드선반과 부드러운 간접조명은 공간에 진입하는 사람을 따뜻하게 맞이해준다.
    밝은 그레이 컬러의 도배와 도장벽은 양질의 채광과 시원한 뷰를 가진 원장실에 어울리게 화사함을 더해주고 책상 옆의 한지로 덮힌 포인트 벽은 청담의사란의 정체성을 확정짓는다.

    다시 우드 복도로 나오면 관리실과 중간대기공간의 방향으로 천정의 간접조명이 길안내를 한다.
    상담을 겸하는 중간대기공간은 부드러운 무드를 위해 베이지컬러로 도배를 했고 잠시 산뜻하게 눈요기하며 쉬어갈 수 있게 오렌지컬러의 소파가 자리했다.

    관리실은 기본적으로 모두 1인이다.
    환자 1명에게 집중하겠다는 정성이 공간에 그대로 드러났다.
    팬던트와 의자 모두 가벼이 보이는 제품이 아닌 하나하나 공간의 모양에 어긋나지 않도록 선별된 제품들이다.

    DR.RAN CLINIC

    청담의사란 의원 [DR.RAN CLINIC]
  • 청담 차오름 의원


    ‘빛과 곡선을 통해 치유에 몰입하는 공간’

    46평 공간의 협소함과 낮은 천장고로 더 협소하게 느껴지는 공간을 어떻게 살려야 할지 중점으로 두고 디자인했다.
    큰 디자인 포인트로 강렬한 인상을 주기보다, 공간의 규모에 어울리는 가는 선들과 디테일들로 디자인 요소를 더했다.

    낮은 천정고를 보완하면서 넓어보이게 하기 위하여 대기공간의 천정고를 최대 높이로 올리고, 내부의 컬러를 최대한 절제하여 깨끗한 분위기가 느껴질 수 있도록 순백색으로 마감했다.
    디자인 포인트를 수직적 요소로 두어 좁고 낮은 천정이 주는 느낌을 상쇄시키고자 했다.
    바닥은 무게감을 잡아줄 수 있는 그레이 타일을 사용했다.

    공간의 입구를 지나, 깊은 내부로 들어가는 복도의 마주보고 있는 두 매스를 곡선으로 감싸고, 인포데스크의 곡선매스를 복도 쪽으로 비틀어 자연스럽게 공간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했다.
    공간의 내부로 끌어들이는 곡선과 공간의 가는 선들에서 만들어진 틈새에서 나오는 빛을 따라 몰입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높낮이가 다른 곡선과 직선의 중첩, 곡선의 중첩을 통한 공간의 몰입 유도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공간의 협소함을 아늑함을 살리고, 치유의 시간에 몰입을 유도했다.
    복도를 바라보는 시선 끝에 포인트 컬러를 더하고, 디스플레이 테이블을 두어서 FOCUS POINT를 유도했다.

    대기공간은 1인이 각각 앉을 수 있는 의자와 테이블을 두어 프라이빗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다운라이트를 최소화하고, 각각의 테이블마다 제작 스탠드 조명을 두었다.
    벽을 비추는 제작스탠드 조명의 빛이 다시 반사되고 산란되어 공간을 은은히 밝힐 수 있도록 했다.
    곡선이 주는 공간의 아늑함을 극대화한다.

    파우더 존은 디스플레이 테이블과 유사한 형태의 스탠딩 세면기를 두었고, 대기공간의 스탠드 조명과 유사한 형태의 선반을 두는 등의 디자인의 요소를 반복적으로 사용해 통일감을 주되,
    디자인 요소의 변주들이 자연스럽게 느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인관리실은 호텔의 스파공간과 같은 분위기를 기대하는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맞추어 공간을 연출했다.
    대리석과 우드결의 인테리어 필름을 사용해 고급스러움을 연출하고,
    틈에서 새어나오는 은은한 빛으로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었다.

    CHAOREUM CLINIC

    청담 차오름 의원 [CHAOREUM CLINIC]
  • CELLIN CLINIC - SUWON

    셀린의원은 건물의 엘리베이터를 내려 문이 열리는 순간 마주하게 되는 자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셀린의원의 브랜드 성질과 더불어 매번 고객이나 접근자들이 겪게 되는 공간의 경험에 대해 고민이 많았습니다.
    ‘호기심’ 이라는 키워드에서 시작해 사람들에게 궁금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여러 매스들의 선을 켜켜이 쌓아 저 ‘너머’에 숨겨진 것들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공간을 의도했습니다.
    공간의 시작과 끝을 인지하게 하는 높낮이가 다른 mass의 중첩을 통해 ‘피부로부터 근원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셀린의원의 공간’의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공간의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내부 고객의 프라이버시를 지키면서, 적절한 노출로 사람들에게 강력한 인상을 남길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신축 건물이다 보니 같은 건물에 다른 경쟁업체의 입점도 예정되어 있어서 공간으로 차별화된 이미지를 주려고 했습니다.
    대기공간은 낮게 감싸주는 원형의 매스로 두고 이 공간을 외부로 공간을 돌출 시켰습니다.

    공간의 내부를 시각적 차단 역할도 하겠지만 오히려 드러난 매스를 통해 공간에 대한
    호기심을 일으킬 수 있도록 디자인을 제안하였습니다.
    매스의 조형미가 강조되도록 자극적인 색의 사용은 배제하고,
    단조로운 느낌이 들지 않도록 자연요소인 돌,모래의 색상과 질감으로
    공간에 다양한 명암을 만들고 채우고자 했습니다.

    대기공간의 바닥은 모래의 질감을 연출 할 수 있는 자갈을 사용했습니다.
    검은색 부분도 검은자갈을 사용하였고, 대기공간의 중심인 제작테이블이 강조하기 위해
    제작테이블의 그림자를 짙게 만들 수 있도록 어두운 색상의 자갈을 사용했습니다.

    CELLIN CLINIC

    셀린 의원 수원 [CELLIN CLINIC]
  • SNOW CLINIC - CHEONGJU

    스노우의 세 번째 프로젝트다.

    이곳은 3층에 스노우의원의 본점이 있고 아래층에 제모위주의 클리닉으로써 사용하기 위해 확장하는 사이트였다.

    크기는 크지 않지만 위층의 본점 스노우와 우리가 지금까지 진행해왔던 동탄,대전 스노우와의 연결고리로써의 기능을 더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도록 하였다.
    보다 이 프로젝트는 우리에게 더 안정적이고 내면적으로 친밀감을 느끼게 하였고 이 느낌을 우리는
    청주 스노우점에 담아내고자 하였다.

    우리들은 스노우의 본사의 확장이기 때문에 명칭 그대로의 ‘스노우’에 집중하였다.
    직설적으로 ‘스노우’를 해석하자면 차갑고 특별하지만,
    ‘스노우 의원’의 슬로건을 따라가면 ‘피부고민이 사르르 녹는’의원임을 강조하고 싶어보였으며,
    ‘눈이 사르르 녹는다’에서 공간을 보다 따스하고 자연스럽게 인지하고 떠오르게 한다.

    형태적으로 높게 뻗은 직선과 부드러운 형태의 곡선을 사용하여 공간의 음영과 볼륨감을 부각시켜 입체감을 살려주며, 따듯한 난색, 잔잔한 무드의 빛을 통하여 공간을 보다 유연하고 풍성하게 연출하였으며 심리적으로 이 흐름을 따라 긴장을 풀어내고 관용적으로 고객의 ‘눈’이 주는 기분 좋은 아름다움을 남기며, 곳곳에 숨겨진 차가운 소재인 금속과 유리,반사체를 사용하여 의료진의 반듯하고 이성적인 태도를 디자인을 통하여 우회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확장공사성을 가진 공간으로써 핸디캡은 분명있었다.
    공간의 협소함이었는데, 마감재, 벽체의 분산,천정의 부분적 노출과 사선적 절개를 통하여 이 핸디캡을 감소시키고자하였다.

    마감재로써는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크림계통의 색채를 주메인으로 따라가 공간을 쪼개지 않았으며
    공간 속에 군더더기를 최대한 배제하기 위하여 반사체, 빛을 공간에 반복적으로 사용하였다.

    벽체의 분산이란 고객이 출입을 하는 전면의 벽체가 필요로 인한 기능을 가지되 천정까지 올라가지 않는 눈높이의 벽체를 설정하여 저 너머의 공간까지 인지하게 하고 시각의 차단을 물리적으로 연장하였다.

    천정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킴과 동시에 노출의 범위를 벽체를 따라 한 것이 아니라
    고객의 동선에 따라 절개함으로써 자연스러운 고객 이동을 유도하였으며, 시각 분산의 효과를 통해 공간에 색다른 경험을 유도하였다.

    SNOW CLINIC

    스노우 의원 청주 [SNOW CLINIC]
  • MUSE CLINIC - HANAM

    어릴적 동화를 꿈꾸던 시간으로
    시간이 지나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무채색이나 무뎌져 가는 색감이나 공간에 대한 향수를 담아
    산뜻하고 경쾌함을 테마로 어른들을 위한 동화 같은 공간을 만들어
    잠시나마 시간을 거슬러 가는 풋풋한 상상의 공간이 되기를 기대하며 공간을 담았다.

    몇가지 테마 칼라를 만들고 모든 선을 봉긋봉긋 솜사탕 같은 덩어리 감으로 에워쌈으로서
    부드러운 공간이미지를 그리고 천장이 아닌 벽에서 뿜어져 나오는 빛을 만들어
    그 속에 내가 들어감으로써 동화의 한 프레임에 내가 장식 요소로 존재 할 수 있게끔 했다.

    이러한 색과 빛 그리고 덩어리의 요소를 조합하여 신선하고 편안한
    그리고 들어가고 싶은 공간을 만드는 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이다.

    MUSE CLINIC

    뮤즈 클리닉 하남 [MUSE CLINIC]
  • LABOM PLASTIC SURGERY

    수묵 담채화.

    조용히 시간을 들여 먹을 갈고 붓으로 그린 그림에 엷은 채색을 더해 자연이나 사람을 종이 위에 그려 내는 것을 수묵담채화라고 한다.
    먹의 짙음과 연함을 기본으로 하고, 여러 가지 색은 보조적으로 사용되며, 또한 그 공간의 여백을 적절히 사용해 표현해 냄으로써 그 완성도의 정점을 찍는다.
    오랜 기간 우리의 것을 공간에 녹여내는 과정을 전통성의 이름으로 수없이 표현되어 왔으며,
    그렇게 눈앞에 단번에 드러나는 공간의 한국적인 것을 담아내었다는 이름에 걸맞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았다.
    우리는 조금 느린 방법을 택했다.

    수묵담채화를 그리기 위해서는 붓 · 먹 · 종이 · 벼루의 수묵화의 기본 재료에 색을 내기 위한 물감이 추가로 필요하다.
    특히 종이의 경우 번짐 등이 용이한 얇은 한지가 주로 사용되는데, 얇은 종이가 수묵과 담채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여 그리는 이의 정신성을 담아내는
    순간적이고 즉흥적인 표현과 선의 민감한 사용에 더 적합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아주 천천히 한지 위에 먹이 스며들어 번져 나가 듯 우리의 공간에서
    경험자들이 그것을 느끼는데 시간이 들 수 있을 거라는 걸 기대에 두고 이야기를 만들었다.

    단아하지만 화려히 바뀌는 디지털이라는 얼굴을 가진 공간에 들어가면 어떤 공간을 만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을 가질 수 있는 공간을 접하게 하고 싶었다.
    그 화려한 듯 단아한 듯 자연 속으로 들어가는 경험.
    그 경험을 통해 고객은 편안함과 이면의 흥분감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기분이 들었으면 했다.
    내외부의 연결점인 전이 공간에 디지털화된 자연을 강하게 각인 시키고, 그 전이 공간을 지나온 이들은 높은 공간에서 천장의 높이를 다르게 만들어진 여백의 공간을 맞이 하게 된다.
    심지어 빛의 높이도 디테일로 만들고, 보여지는 빛이 아닌 반사되는 빛, 벽이 빛이 되는 공간, 공간의 반사를 통한 무한한 확장, 이러한 공간을 보여 주고 싶었다.
    그러다 보니 오히려 색은 단조로워지고, 음영으로 공간이 표현되길 기도했다.

    우리는 이러한 공간을 그리기 위해서 돌과 나무의 재료의 성질을 가져왔다.
    빛을 담아 낼 수 있는 거친 느낌의 벽과 빛을 담고 있는 벽 그리고 공간의 여백을 극대화하는 거울의 요소를 배경으로 실제 돌에 오일을 먹이고 나무의 소재 무늬목에 색을 짙게 입혀,
    붓, 종이, 먹의 소재를 느껴질 듯 말 듯 드러내고 그 위에 실제 낮디 낮은 자연을 얹어 두었다.

    그렇게 우리의 수묵담채화는 천천히 느껴진다.

    LABOM PLASTIC SURGERY

    라봄 성형외과 의원 [LABOM PLASTIC SURGERY]
  • MUSE CLINIC

    뮤즈 클리닉 안산 [MUSE CLINIC]
  • SNOW CLINIC

    스노우 의원 동탄 [SNOW CLINIC]
  • HANMAEUM INTERNAL MEDICINE

    한마음 내과 문래 - 비만&피부 클리닉 [HANMAEUM INTERNAL MEDICINE]
  • SEOUL JIN-EE DENTAL CLINIC

    서울진이치과 [SEOUL JIN-EE DENTAL CLINIC]
  • MUSE CLINIC

    뮤즈의원 분당 [MUSE CLINIC]
  • MUSE CLINIC

    뮤즈의원 광명 [MUSE CLINIC]
  • MIOLLIN CLINIC

    미올린의원 오산 [MIOLLIN CLINIC]
  • SEO JEONG DERMATOLOGY

    서정피부과 서초 [SEO JEONG DERMATOLOGY]
  • AURAEL CLINIC

    아우라엘의원 동탄 [AURAEL CLINIC]
  • AL CLINIC

    에이엘의원 청담 [AL CLINIC]
  • IDA CLINIC

    이다클리닉 청담 [IDA CLINIC]
  • HANMAEUM INTERNAL MEDICINE

    한마음 내과 문래 [HANMAEUM INTERNAL MEDICINE]
  • SECRET CLINIC

    시크릿의원 [SECRET CLINIC]
  • STORY CLINIC

    스토리피부과 [STORY CLINIC]
  • IDA CLINIC

    이다클리닉 [IDA CLINIC]
  • ELINA PLASTIC SURGERY

    엘리나 성형외과 창원 [ELINA PLASTIC SURGERY]
  • MUSE CLINIC

    뮤즈의원 인천구월동 [MUSE CLINIC]
  • LSW CLINIC

    이승우 클리닉 [LSW CLINIC]